두향이에겐 견딜 수 없는 충격이었다.
이별을 앞둔 마지막 날 밤, 밤은 깊었으나
두 사람은 말이 없었다.
퇴계가 무겁게 입을 열었다.
『내일이면 떠난다.
기약이 없으니 두려움 뿐이다.』
두향이가 말없이 먹을 갈고 붓을 들었다.
그리고는 시 한 수를 썼다.
「이별이 하도 설워 잔 들고 슬피 울때
어느 듯 술 다 하고 님 마져 가는구나
꽃 지고 새 우는 봄날을 어이할까 하노라」
이날 밤의 이별은 결국 너무나
긴 이별로 이어졌다.
두 사람은 1570년 퇴계 선생이
69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날 때까지
21년 동안 한 번도 만나지 않았다.
퇴계 선생이 단양을 떠날 때 그의 짐 속엔
두향이가 준 수석 2개와 매화 화분 하나가 있었다.
이때부터 퇴계 선생은 평생을
이 매화를 가까이 두고 사랑을 쏟았다.
퇴계 선생은 두향을 가까이 하지 않았지만
매화를 두향을 보듯 애지중지했다.
선생이 나이가 들어 모습이 초췌해지자
매화에게 그 모습을 보일 수 없다면서
매화 화분을 다른 방으로 옮기라고 했다.
퇴계 선생을 떠나보낸 뒤 두향은 간곡한 청으로
관기에서 빠져나와 퇴계 선생과자주 갔었던
남한강가에 움막을 치고
평생 선생을 그리며 살았다.
퇴계 선생은 그 뒤 부제학,
공조판서, 예조판서 등을
역임했고 말년엔 안동에 은거했다.
그리고 세상을 떠날 때 퇴계 선생의
마지막 한 마디는 이것이었다.
『매화에 물을 주어라.』
선생의 그 말속에는 선생의 가슴에도
두향이가 가득했다는 증거였다.
「내 전생은 밝은 달이었지.
몇 생애나 닦아야 매화가 될까」
(前身應是明月 幾生修到梅花).
퇴계 선생의 시 한 편이다.
퇴계 선생의 부음을 들은
두향은 4일간을 걸어서 안동을 찾아 갔다.
한 사람이 죽어서야 두 사람은 만날 수 있었다.
다시 단양으로 돌아온 두향은 결국 남한강에
몸을 던져 생을 마감했다.
두향의 사랑은 한 사람을 향한
지극히 절박하고 준엄한 사랑이었다.
그 때 두향이가 퇴계 선생에게 주었던 매화는
그 대(代)를 잇고 이어
지금 안동의 도산서원 입구에
그대로 피고 있다.
올 봄 매화를 볼 기회가 있으면
두향의 사랑을 생각하고
한 번 유심히 바라볼 일이다